목록전체 글 (60)
마르니
시하지 못하였던 것에 착안하여 여러 가지 텍스트를 학습자 수준에 맞게 제공한다고 밝혔다.80) 특히 7차 개정안에서는 선택과목으로 ‘매체언어’ 를 신설하였다. 매체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직접 만나지 않고 간접적으 로 생각과 느낌,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고 공유할 때 활용하는 것으로, 책, 신문, 잡지, 라디오, 영화, 텔레비젼, 인터넷 등을 포괄한다. 현대 사 회에서 매체는 예전에 비해 언어 생활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 었는데 매체 언어 역시 의미 해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광의의 언어로 볼 수 있다. 신조어 교육은 이러한 교육적 패러다임의 진보적인 발전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즉, 텍스트를 읽고 문맥적 상황을 고려 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해당 신조어의 의미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
하는 기능은 범교과적으로도 모든 학습 활동에서 도구적인 지적 기능이 된다.74) 국어 교과는 도구 교과와 내용 교과의 양면을 공유하는 교과이 지만 본고에서는 다른 교과 교육에 도움이 되는 도구 교과로서의 국어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특히 어휘력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 을 강조하려 한다. 그런데 어휘력이 국어 교육에서 도구로 기능한다는 생각은 독해 이론의 도구 가설이다.75) 도구 가설은 개별 어휘 의미에 대 한 지식이 독해에 일차적으로 관여하는 요소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더 많은 어휘 의미를 알수록 학습자의 독해 능력은 증진되리라고 본다. 이 도구 가설이 지식 가설보다 강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모든 지식의 학습 에 의사 소통의 기본 도구인 어휘가 빠질 수 없고 어휘력이 전제되지 않 는 지식 가..
‘7차 개정 초중등교육과정’69)에서는 사회적 현실을 고려하여 고등학교 국어과 보통교과과정에서 선택과목으로 ‘매체 언어’를 신설하였다. 이것 은 매체언어의 의미구성 방식, 매체 언어의 비판적 수용, 매체 언어의 향유 등을 통하여 사회적 소통과 문화 참여 능력을 강조하고, 매체 활용 이 아니라 매체 언어의 이해와 생산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는 언어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서 요구되 는 언어 능력의 신장을 위해 국어 지식의 영역을 확장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현실과 격리된 지식이 아닌 현실과 가장 가까운 지식을 배워야 한 다는 사회적 요구가 교과 과정의 변화를 가져왔고 신조어에 대한 학습도 그 틀과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신조어의 교육적 가치는 증대 되는 바이..
나. 無플, 惡플, 냉無 다. 작업에 들어가다(여자를 사귀기 시작하다), 끝내 주다(아주 좋다), 뜨아(눈에 확 띄는 것을 보았을 때 내는 소리), 왕입 니다요(최고입니다), 엽기적이다(아주 새롭고 재미있다), 므 흣하다 (주로 노출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았을 때의 의성어) 인터넷 신조어는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려는 성향이 강하다. 집단보다는 개인을 중요시하는 사회에서 자신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선 특별한 언어 가 필요했다. 그 결과로 수많은 신조어들이 생산되었다. 인터넷상의 언 어는 실생활의 언어 뿐 아니라 각 사회 분야에서 변화의 수용 범위가 넓 다. (17가)는 통신상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축약된 형태를 보이는 예이고 (17나)는 한자어와 영어권의 말이 의미상 합성되거나 일차적으로 합쳐진 뒤 축약된..
혼성되는 그 형태에 주목하여 파생법 및 합성법과 같은 계열에서 논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혼성법을 따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파생법과 합성법만으로 설명하기에 충분치 못했던 신조어들에 대하여는 혼성법으 로 분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즉, 混成語를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 져서 혼합된 뜻을 가지게 된 단어라는 廣義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단어가 합쳐지는 개별적인 모습에 주목하여 분류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와 외 국어의 무분별한 조합이 만든 한국식외래어 형태를 보이는 신조어와 인 터넷 문화를 통해 빠르게 생산되고 있는 축약어 형태, 頭(文)字語를 용 례로 살펴보았다. (14) 가. 넷파이(netpy←network+spy), 넷포터(netporter← netizen+reporter), 댄커스 (dancus←..
문제가 발생한다. 본고에서는 학생들에게 신조어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 한 기본적인 지식 체계로서의 신조어만을 다루기 때문에 이러한 것에 대 한 논의는 후일의 과제로 미루고 형식적 결합방식으로서 신조어의 합성 어를 설명하였다. 3.2.2.1. 통사적 합성어 아래의 신조어는 합성어의 각 구성 성분들이 가지는 배열 방식이 국어 의 정상적인 단어 배열법과 같은 ‘통사적 합성어’ 이다. (12) 가. 밤섬효과, 쓰레기만두57), 머슴행정58), 장롱면허, 취업고시, 운동편식 나. 검은돈, 붉은악마, 젊은혈기 다. 낀세대, 먹는샘물, 깔세 라. 새집증후군, 새혼,59) 맨주먹정신 합성어의 대부분은 ‘명사+명사’ 인데 신조어의 형성에 있어서도 가장 생산적이다. (12가)의 ‘밤섬효과’는 ‘밤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
며, 새말을 만들어 내는 생산력도 접미사에 비해 높지 않다. 특히 최 근의 신조어에서는 거의 그 모습을 찾기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의 신조 어 보다는 초기의 신조어에서 신조어 형성에 비교적 생산적이었던 접두 사를 용례로 들고자 한다. (10) 가. 맞짱, 맞보증, 맞트레이드, 맞대결, 맞공세 나. 헛방망이질, 헛말, 헛소문족, 헛춤, 헛칼질, 헛똑똑이 (10가)의 ‘맞-’은 명사 어기에 ‘마주’ 혹은 ‘서로 비금비금함’의 의미를 더하며 파생명사를 형성한다. 주로 한자어와의 결합이 두드러지는데 ‘맞 트레이드’ 에서와 같이 외래어 語基와도 자연스럽게 결합하고 있다. ‘맞 -’ 이 지니는 의미인 ‘일 대 일’ 의 상관관계가 오늘날 언중들의 심리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맞짱’의 경우에는..
(8가)는 새로운 단어형을 창조하여 풍부한 생산성을 갖는 단어의 예이 다. 이 경우 해당 어형에서 최초로 등장한 단어의 뜻만 제대로 파악하게 되면 뒤이어 나타날 단어의 의미는 금방 알아차릴 수가 있다. ‘-족(族)’ 은 ‘어떠한 일을 즐겨하는 무리나 사람’을 뜻하는데 일반적인 단어와 결 합하여 신조어를 다양하게 생성한다. 그리하여 ‘셀카족(self+camera族)’ 은 ‘카메라, 비디오 따위를 이용하여 스스로 자기 자신의 사진을 즐겨 찍는 무리, 또는 그런 사람’ 을 일컫는 말이 된다. ‘-증후군(症候群)’은 ‘몇 가지 증후가 늘 함께 나타나지만, 그 원인이 명확하지 아니하거나 단일하지 아니한 병적인 증상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을 의미하는데 ‘새 집, 신학기, 운동 과잉’ 등의 말과 결합하여 신조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