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니
신조어 파생법과 합성법 그리고 축약어 본문
혼성되는 그 형태에 주목하여 파생법 및 합성법과 같은 계열에서 논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혼성법을 따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파생법과 합성법만으로 설명하기에 충분치 못했던 신조어들에 대하여는 혼성법으 로 분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즉, 混成語를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 져서 혼합된 뜻을 가지게 된 단어라는 廣義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단어가 합쳐지는 개별적인 모습에 주목하여 분류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와 외 국어의 무분별한 조합이 만든 한국식외래어 형태를 보이는 신조어와 인 터넷 문화를 통해 빠르게 생산되고 있는 축약어 형태, 頭(文)字語를 용 례로 살펴보았다. (14) 가. 넷파이(netpy←network+spy), 넷포터(netporter← netizen+reporter), 댄커스 (dancus←dance+circus), 디지툰(←digital+cartoon)61), 뮤페라(←musical+opera), 사이처(cycher←cyber+teacher), 샐러던트(saladent←salar- iedman+student), 셀슈머(sellsumer←seller+consumer), 아 나털(anatal←analogue+digital),카파라치(carparazzi←car+ pɑparazzi), 캐포츠(caports←casual+sports), 폰페[phon(e)- page←phone+homepage], 윈터발(winterval→winter+fest- ival) 나. 김치우드(←김치+Hollywood), 땅팅(←땅+meeting), 맛캉스(←맛+vacance), 민텔(←民泊+hotel), 소개팅(←紹介 +meeting), 쓰파라치(←쓰레기+paparazzi), 악플[←惡+리플 (reply)], 욕티즌(←辱說+netizen), 셀카족(←selfcamera+族) (14가)는 최근 들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외국어의 준말에 유추하여 만 들어낸 한국식 외래어이다. 두 개의 단어가 차례대로 연결된 어구에서 앞 단어의 앞부분과 뒤 단어의 뒷부분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또, 61)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과 손으로 그린 그림을 합성해서 만든 짧은 만화. - 30 - (14나)에서 처럼 한자어와 영어권의 말이 파생적으로 혹은 합성적으로 결합되어 문법 현상을 규칙화하기 어려운 유형의 말들이 생겨나고 있다. (15) 가. 뮤비(music video), 캠폰(camcorder phone), 스펙(specifi- cation) 나. 몰상남 (몰상식한 남자), 지못미 (지져주지 못해서 미안해), 얼큰이, (얼굴이 큰 아이), 썩소 (썩은 미소), 생스(생활 스터 디), 즐감 (즐거운 감상), 정모 (정기 모임), 강추 (강력 추천) 다. CQ(Culture Quotient)62), IJ(Internet Jockey), QJ(Quiz Jockey) (15)는 축약에 의해 만들어진 신조어들이다. (15가)는 외래어가 축약되 어 형성된 것이고 (15나)는 句 및 節이 축약되면서 형성된 것이다. (15 다)는 국내에서 만든 영어 ‘頭(文)字語(acronym)’ 이다. 축약법은 음절수 를 줄여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언어 경제적 장점을 지니므로 텍스트 의 사용이 증가하는 현재의 상황으로 미루어 보아 축약법에 의한 신조어 생성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자어에서 주로 나타나던 축약이, 외래어가 증가하고 외래어 사용이 보편화 되면서 앞으로는 외래어나 외 래어 요소가 포함되어 나타나는 것이 더 많을 것이다. 3.3. 사회 문화적 측면 신조어의 형성 양상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신조어가 생명력을 이 어갈 수 있는 문화사적 배경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새로운 사회와 문화가 반영되는 사회문화적 측면을 고려할 수 있고, 그 중에서 특히 인터넷 문화를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세부적인 내용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62) 문화 정서와 교양을 나타내는 지성 지수. - 31 - 3.3.1. 사회 문화적 요인 (16) 가. 정부 차원에서 계획으로 만든 경우 현금 영수증 제도, 선택 요일제, 신행정수도, 근로자 능력 개발카드, 사이버 경찰, 육아 휴직 할당제, 가족 관계 증명서 나. 새로운 사회 문화의 등장으로 생성된 경우 바리스타,63) 라섹, 유비쿼터스, 기러기아빠, 월드컵세대, 사이버폭력, 태보 댄스, 배꼽 내시경, 창업농 다. 라. 언중들의 심리적 요인으로 만든 경우 귀차니즘, 소통령,64) 동안병, 늑장 주의보, 헐리우드 액션, 월 요병, 안습, 셀카족, 카드 마감일 증후군, 월급고개 권력의 다양한 모습이 반영된 경우 ᄀ. 완소남, 훈남, 꽃미남, 능력맨, 건실맨, 진지맨 (+남성성을 지키려는 형태) ᄂ. 개똥녀, 생뚱녀, 된장녀, 고추장녀, 선수녀 (+남성성을 이용하는 형태) ᄃ. 의리녀, 꽃소녀, 섹시녀, 귀족녀, 훈녀, 날씬녀 (+여성성을 지키려는 형태) ᄅ. 느끼남, 짝벌남, 된장남, 몰상남, 추접남, 어좁남 (+여성성을 이용하는 형태) ᄆ. 새끼 상담사, 독서 치료사, 목욕 관리사, 체형 관리사 (고용 권력) ᄇ. 삼겹살데이, 로즈데이, 구이데이, 파이데이, 커플데이, 블루 데이 (상술 권력) (16가)는 새로운 제도의 도입으로 명명의 필요성에 의해 정부 차원에서 63) 이들 매장에는 바리스타(barista)라는 사람이 있어 손님이 자신에게 맞는 커피를 선 택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국민일보」, 2000. 6. 20). 64) 직업도 없으면서 단지 대통령 아들이라는 이유만으로 문민 정부 ‘소통령’으로 불리 면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한 그는......(「동아일보」, 2002. 5. 16). - 32 - 계획적으로 만든 신조어이다. (16나)는 사회 발전의 양상을 반영하고 있 는 신조어이다. 多文化 시대에는 색다른 직업과 새로운 개념들이 하루가 다르게 생겨나고 있으므로 이를 지칭할 언어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16 다)의 ‘귀차니즘’과 같은 경우는 언중들이 시간과 공간을 상대적으로 경 험할 때에 느낄 수 있는 심리를 표현하려고 하였고, ‘셀카족’에서는 소속 감을 나타내기 위해 무리지어서 표현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신조어는 만들어질 때마다 눈에 보이지 않은 권력의 이동이나 조정이 있다.65) 신조어의 생산자는 기득권을 지키려는 남성 권 력, 예술 권력, 돈 권력, 고용 권력, 상술 권력 등으로 대표되고, 디지털 문화가 권력으로 새롭게 자리 잡으면서 기득권과 야합하기도 한다. 3.3.2. 인터넷 신조어 통신언어에서 개인은 다른 사람들의 간섭을 받지 않는 가상공간 속에서 남들과 다른 존재성을 부각하기 위해 자신들만의 공간을 확보하여 현실 공간으로부터 ‘일탈’ 하려는 욕구가 표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 서 그들의 일탈현상은 신조어를 만들거나 표기상의 왜곡 등을 통한 단어 의 변형이나 비속어, 은어의 사용뿐만 아니라, 문자 대신에 숫자나 기호 를 이용한 표현에까지 이르고 있다. 인터넷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커 뮤니티를 통한 정보 공유이다. 오프라인에서의 한계의 틀을 깨고 많은 인간관계를 맺을 수도 있고 신속하게 정보를 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사 용자들은 자신의 목적을 언어가 아닌 문자로 다른 인터넷 사용자에게 정 확하게 표현해야만 한다. 이러한 연유로 발생된 신조어는 이제 그들만으 로도 하나의 범주를 마련할 정도로 그 영역이 넓어졌다. 신조어는 전달 형식은 문자이지만 음성언어의 특성을 보인다. 문자언어와 음성언어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면서 인터넷 신조어의 모습이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17) 가. 채금(채팅 금지), 출첵(출석 체크), 익게(익명 게시판) 65) 김다은,「발칙한 신조어와 문화 현상」, 엘리트2000, 2006, p.27.
'연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체 언어 신설과 보통교과과정 선택과목 (0) | 2021.11.23 |
---|---|
집단과 개인 그리고 통신상의 경제성 (0) | 2021.11.23 |
기본적 지식 체계와 정상적 단어 배열법 (1) | 2021.11.23 |
접미사의 새말 생산력과 초기 신조어 모습 (0) | 2021.11.23 |
새로운 단어형 창조와 최초 등장 뜻 (0) | 2021.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