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마르니

교수 학습 활동 계획과 신조어 수집 그리고 사전 만들기 본문

연구자료

교수 학습 활동 계획과 신조어 수집 그리고 사전 만들기

마르마레오스 2021. 11. 23. 23:09

[표8] 교수 학습 활동 계획 목표 신조어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신조어 사전을 만들 수 있다. 대상 분류 기준에 따라 학년별 위계가 달라질 수 있다. 방법 현시적 교수법의 적용 (시범 보이기) 모둠활동지도 (모둠 별로 사전의 종류를 정하고 사전을 만들 수 있도록 지도하기) 학습활동 (개인) 신조어 수집하기 (모둠) 토의‧토론을 거쳐 사전 만들기 평가 (개인) 자기점검 (모둠) 과정평가 및 결과 평가 신조어 사전을 만들기 위한 학습은 신조어를 분류하는 기준이 어떠한 것이 될 수 있느냐에 따라 학습이 적용되는 학년이 달라질 수 있다. 따 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신조어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하고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자료 수집은 학생들 스스로 할 수 있지만 학습자 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교사가 적절한 어휘를 선정할 수 있어야 한 다. 신조어를 교육용 어휘로 연구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학습자의 수준 이 높은 수업에서는 교사와 학생들이 신조어에 대한 교육용 어휘로서의 비판적인 검토를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반면 저학년일 경우에는 사전 을 만드는 일 자체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사전에 등재되는 어휘의 선 정만을 강조하지 말고 사전을 스스로 만듦으로써 신조어에 대한 이해를 넓혀갈 수 있도록 한다. 교사의 평가는 학습자의 자기점검을 유도하여 행해질 수 있다. 어휘 선정과 사전을 만드는 일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스 스로를 점검하게 함으로써 교수 학습의 진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 다. 이와 같은 교수 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풍부하게 하고 신 조어 교육이 교과적으로 적용될 뿐 아니라 탈교과적으로도 폭넓게 실행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23) 가. A학생의 신조어 사전(辭典) 만들기 ᄀ. 사전의 특징을 이해한다. ᄂ. 신문과 인터넷, 그 밖의 매체에서 신조어를 찾아낸다. - 62 - ᄃ. 사전의 종류를 결정한다. ᄅ. 수집한 신조어를 모아 한글 자.모음 순으로 배열한다. ᄆ. 단어의 뜻을 찾아 사전적 정의를 기술한다. ᄇ. 그 외 주석· 어원· 품사 및 다른 말과의 관련 등을 추가 작성한다. A학생은 위와 같은 순서에 의해 다음의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신 조 어 국 어 사 전 가상체험폰 [명사] 통신언어... ∧ 가위슛 [명사] 운동/오락...축구...접 가위치기 [명사] 사회...주차된... 히 가육류 [명사] 가공한 육류 ... 는 가족나들이족 [명사]사회...가족...부 :분 -1- ∨ : 쭉쭉탄탄하다 [형용사] 몸매 따위가... 척추피로증후군 [명사] 의학...자세... 컬러링 [명사] 휴대 전화의 통화...... 티머니카드[명사] 서울교통 카드를... 폐인 [명사] 어떤 것에 아주 중독... 합화되다 [동사] ...合火될 성화는... -10- 나. A그룹의 신조어 사전(事典) 만들기 ᄀ. 사전의 특징을 이해한다. ᄂ. 모둠별로 수집해온 신조어를 섞어서 나눠 가진다. ᄃ. 사전의 종류를 결정한다. ᄅ. 신조어를 분류할 기준을 마련한다. ᄆ. 수집한 신조어를 모아 일정한 기준에 의해 배열한다. ᄇ. 단어의 뜻을 찾아 사전적 정의를 기술한다. ᄉ. 신조어가 쓰인 사례를 추가하여 작성한다. ᄋ. 사전에 등재 시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단어에 대해 토의한다. A그룹은 위와 같은 순서에 의해 다음의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신 조 어 인 검안사 시력의 좋고 나쁨, 색맹...∧ 접 기러기아빠 자녀를 외국에서 공... 히 는 간호사와 검안사 등 11명의 의료진 을 이...(「중앙일보」, 2003. 4. 8) 대부분 기러기 아빠들은 주말이면 ...(「동아일보」, 2002. 2. 19) - 63 - 물 사 전 쉼터근로자 정부에서 일거리를... 부 분 :∨ -1- 시관계자는 건설 현장에 ‘쉼터근로 자’ ... (「서울신문」, 2006. 3. 7) : -10- (23가)는 학생의 개인 활동을 보인 사례이다. 사전(辭典)을 만드는 것이 기 때문에 언어사전 중 ‘신조어 국어사전’ 이라고 명칭을 부여한 뒤 한 글의 자.모음 순서대로 수집한 신조어들을 배열하였다. 신조어 각각의 품 사를 기재하고 전문 영역 표시는 국립국어원에서 펴낸「표준국어대사 전」의 분류에 따랐다. 일정한 순서에 맞게 체계적으로 수업이 진행되도 록 교사가 지속적으로 도움을 주어야 한다. (23나)는 모둠 활동의 순서 를 보인 사례이다. 개인 활동보다는 고학년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신조 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기른다는 목적을 추가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사전(事典)의 종류를 ‘신조어 인물 사전’ 이라고 결정한 뒤 단 어의 의미와 함께 단어가 사용된 용례를 작성하였다. 수집한 신조어의 용례를 통해 신조어로서 자격이 있는 것을 구분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사전에 등재한다. 이러한 활동은 지식적인 학습 이 외에도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모둠별 수 업을 토대로 대략적인 수업의 진행 상황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표9] 교수 학습 활동 전개도 단계 학습내용 교수 학습 활동 비고 (수업 형태) 교사활동 학생활동 도입 학습 제재 학습 목표 수업의 진행 방식 소개. 학습 목표 제시 설명을 들으며 전체 수업 진행 방식을 인지함. 강의 전개 사전만들 기를 위한 기본 학습 사전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함. 사전의 종류를 설명함. 설명을 들음. 조사 및 발표 모둠 활동 모둠별로 수집한 신조어 사전의 종류를 - 64 - 하기 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분류하고 사전을 만들 수 있도록 지도함. 결정하고 분류 작업을 거쳐 사전을 만듦. 정리 모둠활동 내용 결과 정리 및 자기 점검 모둠 활동 결과와 자기 점검 평가지 나눠줌. 모둠별 활동 결과를 작성. 자기 점검 평가지 작성. 모둠 활동 평가 (개인) 자기점검 (모둠) 과정평가 모둠별 활동 진행시 과정 평가 실시. 자기점검 평가지를 통한 이해력 평가 평가 결과물 확인. 학습의 이해도 판단하기 평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