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마르니

문화적 독해 교육과 실용성 그리고 단편적 학습 본문

연구자료

문화적 독해 교육과 실용성 그리고 단편적 학습

마르마레오스 2021. 11. 23. 11:33

준다. 이처럼 문화적인 독해 교육과 언어 교육이 병행될 때 문법이나 실용성 위주의 단편적인 언어 학습을 벗어나 학습자가 언어의 상황적, 문맥적 요소를 포괄하는 흥미 있고 능동적인 언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어휘 해석 능력을 키우는 데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그리고 (18)의 예에서 볼 수 있는 언어는 이미 통용되는 말이 있지만 국어 순화 의 목적으로 생성된 것이므로 국어의 사용적 측면에서도 교육적으로 시 사하는 바가 크다. (19) 가. 브이디티 증후군 (VDT[Visual Display Terminal) 밤늦게까지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경우 브이디티(VDT)증후 군이 나타난다(「일간 스포츠」,2003. 3. 10). (19가)는 컴퓨터의 모니터에서 방사하는 전자기파에 장시간 노출됨으로 써 발생하는 두통, 시력저하, 어깨의 통증, 식욕 부진 따위의 증상을 의 미하는 단어이다. 이것은 사회 문화적인 발전으로 생성된 새로운 개념을 명명하는 필요에 의해 생겨난 것이다. 텍스트에서 ‘밤늦게까지’ , ‘증후 군’과 같이 부정의 의미를 내포하는 단어들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 아 건강에 해로운 뜻을 가진 의미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나. 오감 브랜딩(五感 branding) 이 책은 이처럼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등 오감을 활용 해 세계적인 브랜드를 구축하는 데 성공한 기업들의 사례를 분 석해 오감 브랜딩 전략의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한다(「연합 뉴 스」, 2006. 4. 4). (19나)는 새로운 직업의 창출로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형성된 말이다. 신문 텍스트에 활용된 단어를 통해 그 의미를 유추할 수 있다. (19나)는 텍스트 내에서 단어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 - 46 - 라서 오감 브랜딩이라는 신조어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등 다양 한 감각을 활용해 기업의 이미지를 만드는 일을 뜻함을 쉽게 알 수 있 다. 다. 탤개우먼(talent+gag woman) TV오락 프로그램을 넘나들며 특유의 재치와 입담으로 ‘탤개 우먼(탤런트+개그우먼)’으로 명성을 떨쳤던 김원희가 10월 방송 예정인 서울 방송 수목 시리즈 ‘사랑은 기적이 필요해’ 에 출연, 코믹 애드리브 연기의 진수를 보여 줄 예정이다 (「스포츠 한국」, 2005. 7. 22). (19다)는 외래어의 어기가 일부 탈락되어 합성된 혼성법에 의한 신조어 이다. 단어 자체에서 생략된 부분을 유추하여 의미를 알 수도 있지만 전 체 텍스트를 읽음으로써 보다 쉽게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라. 장기 이식 코디네이터(臟器移植 coordinator) 서울 중앙 병원 장기 이식 센터 장기 이식 코디네이터인 홍정 자씨(30). 사정을 모르는 사람이 보면 뭐하는 짓이냐는 비아 냥도 나올 법하지만 막상 일이 벌어지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평상시에는 이식받기를 원하는 환자를 관리하면서 수혜자와 연결시켜 준다(「경향 신문」, 1999. 4. 12). (19라)는 루어질 수 할 때까지 하는 새로 통해 해소할 수 있는 예이다. 학생들은 (19)와 같은 생소한 개념에 대한 이해를 텍스트를 활용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단어의 형태적인 합성에 서 오는 모호성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의 기증자와 수혜자, 의사들과 함께 장기 이식이 잘 이 있도록 장기 이식 과정을 조정하고 수술 후에도 환자가 사망 관리 . 책임지는 일을 맡아 하는 사람, 또는 그런 직업’을 뜻 생긴 말이다. 단어의 시각적 인상에서 오는 오해를 텍스트를 - 47 - 4.2.1.3. 교수 학습 방안 및 평가 본고는 신조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텍스트 맥락 읽기 지도를 구체적으로 실 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업의 틀을 세웠다. 학습 목표와 대상, 방법, 학생 활동, 마지막으로 평가까지 효율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방안으로 제시한 것이다. [표4] 교수 학습 활동 계획 목표 신조어가 사회 문화적 현상임을 알 수 있다. 신문 텍스트를 활용하여 신조어의 의미를 알 수 있다. 대상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9학년 1학기의 교육 과정을 마친 학습자. 방법 현시적 교수법의 적용 (시범 보이기) 모둠활동지도 (신문 텍스트를 수집하여 여러 가지 신조어의 의미 유추 유도하기) 학습 활동 (개인) 텍스트에 사용된 신조어를 활용하여 짧은 글 짓기 (모둠) 신조어의 발생 배경에 대하여 토의하기 평가 (개인) 결과평가 (모둠) 과정평가 본격적인 신문 읽기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신조어가 사회 문화적 인 요인을 배경으로 하여 생성된다는 특성을 학습해야 한다. 따라서 신 조어 자체의 전문성을 알기 위해 ‘신조어가 사회 문화적 현상임을 알 수 있다’ 라는 첫 번째 목표를 명시한 다음 본격적인 신문읽기 활동을 두 번째 목표로 제시하였다. 학습의 대상은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9학년 1 학기의 교육 과정을 마친 학습자로 설정하였다.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9학년 1학기 교과서에 따르면 5단원 읽기와 매체활용의 목표가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다양한 매체를 찾아 활용하는 습관을 가진다’ 이고 同 학년 1학기 3단원 독서와 사회의 학습 목표가 ‘읽기가 사회문화 적 과정임을 안다’ 로 제시되어 있다. 이것이 신문읽기를 통한 신조어의 학습의 목표와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하여 기존의 것을 학습한 후에 신조 어 텍스트 읽기 지도를 실천하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구체적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