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니
은어와 속어 그리고 유행어의 변화 본문
층의 집단에서 만들어 낸 은어, 속어, 비어, 유행어 등이 있다. 특히 신 조어의 생성은 사회의 변화와 같은 사회상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시대상이나 사회상을 반영하는 유행어와의 구분이 매우 어 렵다. 이들의 경계가 매우 자의적이고 주관적인 것임을 다음의 체계를 보면 알 수 있다. 김광해(1993)는 어휘의 양상을 몇 가지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 체계화 하였다. [표2] 어휘의 양상16) +지리적 +위상적 -지리적 -위상적 +대우 (화용적) -대우 +집단성 -변이 (팽창) -집단성 -항구성 유행어 [표2]에 의하면 전문어와 신조어 및 유행어는 [± 집단성]에 의해 구분 되며 다시 신조어와 유행어는 [± 항구성]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이 러한 구분은 이론적인 것일 뿐 실제의 신조어 용례를 살펴보면 체계화하 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같은 어휘라도 한 집단에서는 신조어 로 인식되는 것이 다른 집단에서는 전혀 새로울 것이 없을 수 있다. 이 것은 어휘를 상대적으로 인식한다는 말인데 결국 신조어에 대한 기준과 범위가 자의적일 수밖에 없음을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 15) 현행 중학교 교과서(제7차 교육과정)에는 이를 사회 방언으로 분류하고 있다. 16) 서울대학교 국어교육 연구소,「고등학교 문법 교사용 지도서」, 교육인적자원부, +변이 방언어휘 +隱語 은어(집단은어) -隱語 남성어, 여성어 공대어, 하대어 속어, 완곡어, 관용어 어휘의 양상 전문어 (직업어, 집단어) +항구성 신어 2007, p.153. - 12 - 한 특수어들의 양적 정보와 상대성을 모두 고려할 수 없으므로 신조어로 포함할 수 있는 일정 범위를 설정해야 한다. (2) 가. 황산콘드로이틴나트륨, 견치(犬齒), 구개수(口蓋垂), 은진(癮 疹), 거골(距骨), 어레스트(Arrest) 나. 태반주사(胎盤注射), 협약학과(協約學科), 은행연계보험, 유비 터스(ubiquitous)17), 로밍폰(roaming phone)18) 전문 분야의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구처럼 사용하는 어휘 가 바로 전문어이다. 현대사회가 고도로 산업화 · 전문화됨에 따라 다양 한 전문어가 생성되고 있다. 전문어는 일반 사회에서 별로 쓰지 않는 전 문적인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말이므로, 의미가 정밀하고 다의성이 적으 며, 그에 대응하는 일반 어휘가 없는 경우가 많다. (2가)는 해당 전문 분 야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은 그 의미를 알기 어려운 전문어이다. 그러 나 정보화 사회의 도래로 일상 생활에서 정보 획득의 용이성이 보장되고 언중의 의식수준도 크게 향상되어 전문 분야로 여겨지던 영역에 대한 관 심이 높아지면서 전문어와 신조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2나)는 특정 전문분야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전문어이지만 언론매체 등을 통해 자주 사용되거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전문어이지만 일상생활 과의 거리가 비교적 좁은 편이다. 따라서 새로 만들어진 전문어 가운데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거나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신조어의 조건 에 부합되는 단어는 신조어로 포함시킨다. (3) 가. 사오정, 육이오, 이태백, 보통사람, 최불암 시리즈 나. 얼짱, 몸짱, 길치, 나들이족, 디카족, 명퇴, 기러기 아빠19) 17) 언제나, 어디서나, 어느 단말기로나, 어느 네트워크로나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유비쿼터스’ 사회는 기술적으로는 장밋빛 환상을 갖게 한다. 하지만 개인 정보 및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보면 악몽의 출발점이라고 볼 수도 있다(「한겨레신 문」, 2005. 12. 20). 18) 일반 휴대폰뿐 아니라 공항에서 빌려 주는 로밍폰으로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매일경제신문」, 2002. 6. 19). - 13 - 유행어란 ‘의미나 발음 형태가 신기하여 어느 기간 동안 널리 쓰이는 말’ 을 뜻한다. 유행어를 연구하는 것은 그 사회를 한 눈에 이해하는 첩 경이 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당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각과 그 시대의 모습이 응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 행어는 대개 일정 기간 동안 쓰이다가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이나, 일부 는 보통어로 정착되기도 한다. (3가)는 전자의 예이고 (3나)는 후자의 경 우이다. ‘얼짱, 몸짱’ 이라는 말은 “아무개의 미모가 뛰어나다고 하더라” 라고 말하기 보다는 “아무개가 얼짱이래.” 라고 표현하는 것이 일상화 되어 있고 그것이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보통어처럼 쓰이고 있 다. 이것은 유행어 가운데 상당수는 항구성과 대중성을 얻어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져 유행어와 신조어를 [±항구성] 자질만으로 구분 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보여 준다. 특히 (3나)에서는 유행어가 통일된 접미사를 구축하여 규칙화되고 있는 예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유행어 가운데 [+항구성]을 확보하려는 어휘가 상당수 등장하였다는 것으로써 신조어와의 결합이 머지않았음을 보여 준다. 또한 유행어가 과거 구나 문장 단위의 長形이었다면 최근의 유행어는 短形化되고 있어20) 유행어 도 신조어의 조건에 부합되면 신조어로 수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4) VDT증후군21) ‧ 컴퓨터 단말기 증후군 ‧ 경견완(頸肩腕)장애22) 신조어 가운데에는 하나의 사물에 대해 몇 가지의 표기 형태가 공존하 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외래어를 飜譯借用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4)와 같이 하나의 사물을 지칭하는 단어가 여러 표기 형태로 공존할 때에는 모두를 신조어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 의미의 생산이 새 19) 대부분 기러기 아빠들은 주말이면 할인점에서 김밥을 사 들고 등산이나 낚시를 가 거나 아예 회사 일을 휴일까지 연장한다(「동아일보」, 2002. 2.19). 20) 백영석,「신조어 조어법 연구」,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2001, p.31. 21) 밤 늦게까지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경우 브이디티(VDT)증후군이 나타난다(「일간 스포츠」, 2003. 3. 10). 22) 목 부분에서 어깨나 팔까지 저리고 아프며 손가락에 가벼운 운동 장애가 있는 일련 의 증상을 일컫는 의학용어이다.
'연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의 보편적 방법과 공감의 폭 (0) | 2021.11.23 |
---|---|
신조어의 사용 빈도와 언어 유희 (0) | 2021.11.23 |
어휘 생성 양상과 조어적 측면 (0) | 2021.11.22 |
신어 조어 방식과 객관적인 형태론적 기준 (0) | 2021.11.22 |
신조어의 개념과 학교 현장 그리고 교육적 가치 (0) | 2021.11.22 |